메뉴 건너뛰기

LA 집단 절도 범죄 1위 오명…2위는 SF

kykim 2023.10.27 16:17 조회 수 : 70

Screen Shot 2023-10-27 at 5.17.21 PM.png

 

 

엘에이시가 전국에서 조직 절도 범죄가 가장 많은 곳으로 꼽혔습니다.

 

전미소매협회가 전국의 177개의 브랜드를 조사해 도시별 조직 절도 범죄를 분석한 결과 올해 엘에이시가 전국에서 절도 피해가가장 높은 도시로 조사됐습니다.

 

뒤를 이어 샌프란시스코뉴욕시애틀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써 엘에이는 지난 5 연속 전국에서 조직적 절도 범죄가 가장 많은 도시라는 오명을 쓰게됐습니다.

 

26 공개된 소매 협회의 보고서를 살펴 보면  지난  절도 피해로 인한 매장의 상품 규모는 1.6% 1  1.4% 비해 늘어난 수치며 이를 환산하면 피해 액수는 182 달러 늘어난 셈입니다.

 

하지만 이같은 수치는 전국에 있는 유명 브랜드에만 국한돼 있는 것으로 지역별 소규모 업체들까지 합하면 피해 액수는 훨씬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엘에이 지역의 절도 피해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캘리포나  20 이상의 도시가 보석금 면제 정책 제로 베일 정책을 종료하기 위한 소송에 들어갔습니다.

 

가장 최근에 합류한 토랜스의 경우 시의원들이 만장일치의 투표 결과가 나오며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LAPD 역시 제로 베일 정책에 반대하고 나서고 있는 입장입니다.

 

LAPD 마이클 무어 국장은 이같은 정책이 범죄를 억류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며 일치감치 선을 그었습니다.

 

제로 베일 정책을 반대하고 있는 도시들은 베벌리힐스를 비롯해 산타모니카세리토스 웨스트 코비나위디어  모두 24개의도시가 해당 됩니다.

 

한편 엘에이 시의 경우 아직까지 이렇다  입장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YTV  뉴스 박시몬 입니다.

일자: 2024.03.20 / 조회수: 0
선천적 복수국적자 국적이탈 개정 청원 file
일자: 2024.03.20 / 조회수: 0
CA 주민발의안 1, 가결됐지만 재검표 논란 file
일자: 2024.03.15 / 조회수: 0
CA 가정 간병인 무료 교육 프로그램 8월 종료 file
일자: 2024.03.14 / 조회수: 0
미셸 스틸 의원, “중국 내 북한 주민 인권 위한 조치를” file
일자: 2024.03.12 / 조회수: 0
내 집 사려면 2020년보다 47,000달러 더 벌어야 file
일자: 2024.03.11 / 조회수: 0
LA시, 지난해 증오범죄 사상 최고치 기록... 전년 대비 17% 증가 file
일자: 2024.03.07 / 조회수: 0
K타운액션, TOC저소득 아파트 한국어 권리 보장 촉구 file
일자: 2024.03.06 / 조회수: 0
LA시, 60세 이상 무료 식사제공 확대 file
일자: 2024.03.06 / 조회수: 0
제로베일 ‘조지 개스콘’, 본선행 확실. 한인 외 후보자 현황 file
일자: 2024.03.05 / 조회수: 0
11월을 위한 예비선거 ‘수퍼화요일’ 남가주 한인 후보자들 전망은? file
일자: 2024.02.29 / 조회수: 0
마이클 무어 LAPD국장, 29일 임기 마감 file
일자: 2024.02.28 / 조회수: 0
CA, 장애주민에게 저축계좌 제공 추진 file
일자: 2024.02.28 / 조회수: 0
텍사스, 초대형 산불로 비상사태 선포 file
일자: 2024.02.26 / 조회수: 0
LA시, 한인타운서 설잔치 행사 기자회견 file
일자: 2024.02.23 / 조회수: 0
LA카운티 예비선거 투표센터 24일 오픈 file
일자: 2024.02.20 / 조회수: 0
내 집 장만 길잡이 제3회 YTV 주택 부동산박람회 성황리 개최 file
일자: 2024.02.16 / 조회수: 0
극단적 선택 한인 숫자, 아시아계의 2배 file
일자: 2024.02.14 / 조회수: 0
대한민국 축구대표팀, 선수간 불화 사실 확인 file
일자: 2024.02.13 / 조회수: 0
클레버 케어 헬스 플랜, 남가주에서 전년 동기 대비 112% 성장 file
일자: 2024.02.13 / 조회수: 0
연방 정부, 메디케이드로 식료품 지원 확대 추진 file